터널형 중심정맥관이란?
카테터를 정맥에 삽입하고 정맥 바깥 부분에 일부를 피하에 심는 카테터로 가늘고 부드러워 수액이나 약물의 주입에 유리하도록 만들어진 관을 말한다. 피하에 매몰하는 부분에는 Dacron cuff가 있어 삽입 후 3-4주 후에 섬유화되어 피하에 고정되고 세균의 침입 방지에 유리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카테터 끝은 종공(end-hole)형태인 Hickman catheter, Broviac catheter가 있고 측면 밸브(slit형태인 Groshong형 카테터가 있다. 병원에서는 주로 Hickman catheter, Broviac catheter를 사용한다.
장기중심정맥카테터에 속하고 최소 1개월 이상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항암 화학요법(chemotherapy), 총정맥영양법총 정맥영양법(total parenteral nutrition), 장기 정맥항생제 치료에 적합하고 말초혈관 줄기세포의 채집이나 이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중심정맥관 종류 및 특징 포스팅 보러가기
↓↓↓↓
비터널형 중심정맥관 포스팅 보러가기
↓↓↓↓
소아암환자에서의 적용
소아 암환자에서 터널형 중심정맥관은 Hickman catheter, Perm catheter, Broviac catheter를 사용한다.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유전질환 등을 진단받은 환아 중 동종이식이 필요한 경우 3 lumen의 Hickman catheter를 삽입한다. 이식치료 중 3개의 lumen이 모두 필요하다. 이식 치료 중 수액, 항구토제, 항생제, 항암제, heparin, alprostadil, 면역억제제 등이 투여되는데 항암제, 면역억제제 등은 다른 수액 및 약물과 섞이지 않고 단독 투여해야 하므로 적어도 3 lumen이 필요하다.
고형종을 진단받은 환아 중 자가이식이 필요한 경우 2 lumen의 Perm catheter를 삽입한다.고용량항암화학요법 &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치료 중에 수액, 항생제, 항구토제, 항암제, heparin, alprostadil, TPN 등이 투여된다. 면역억제제가 제외되므로 적어도 2 lumen이 필요하다.
이 외에 중심정맥관은 필요하나 PICC하기에 환아가 너무 작은 경우에 2 lumen을 가진 hickman catheter나 Broviac catheter를 삽입한다.
터널형 중심정맥관 주의사항
소독 시마다 Dacron cuff의 노출 유무를 확인한다. 성인에서는 Dacron cuff가 보이는 경우가 별로 없다고 하던데 소아의 경우 은근히 많다. 영아의 환아가 걸음마 전에 엎드려 있는 시간이 많으면 Dacron cuff가 피하에 고정되기 전 카테터가 배와 바닥 사이의 마찰로 인해 조금씩 밀려 나오게 된다. 또 중심 정맥관에 수액이 연결되어 있을 때 수액 라인이 바닥에 닿아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수액 라인을 밟으면서 카테터가 조금씩 밀려 나오기도 한다.
Dacron cuff가 피부 밖으로 나온다고 바로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중심정맥관의 patency가 유지된다면 일단 사용하지만 Dacron cuff의 역할을 못하므로 감염의 위험성이 커진다.
Hickman catheter, Broviac catheter는 부드럽고 유연하다. 이것이 장점이자 단점이기도 하다. 그만큼 손상을 잘 받기 때문이다. 3ml 이하의 주사기를 카테터에 직접 연결해 사용하게 되면 약물 주입 시 과도한 압력에 의해 카테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5ml 이상의 주사기를 사용한다.
클램프는 항상 클램프 보호대(두께가 있는 부분) 안에서만 사용하고 잠금 위치를 조금씩 바꿔준다. 얇은 부분에 클램프를 적용 시 관이 눌리지 않아 클램프가 안될 수가 있다. 클램프가 된다며 그 부분에 손상을 주게 되고 반복적인 손상을 받으면 내관이 찢어지게 된다. 내관이 찢어진 부위는 압력이 가해질 때(예를 들면, 주사기로 NS flushing 등을 할 때) 풍선처럼 부풀어지다가 터질 수 있다.
만일 풍선처럼 부풀어진다면 즉시 주치의와 상의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2 lumen 이상이라면 나머지 lumen은 사용해도 된다. 실제로 약물을 bolus로 투여하는 중에 약해진 부위가 터져서 응급으로 제거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카테터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칼, 가위, 옷핀 등 날카로운 물건을 카테터 가까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병원에서 카테터와 피부를 고정한 Stitch 제거 시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기도 한다. 집에서 드레싱이 벗겨지지 않아 가위나 칼을 사용하다가 손상되어 응급실로 오는 경우도 있다.
♥당신에게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제품을 소개합니다. 이 페이지의 링크를 통해 구매하면 소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심정맥관 드레싱 종류 (0) | 2020.07.19 |
---|---|
중심정맥관 소독 방법 (0) | 2020.07.18 |
PICC(말초삽입 중심정맥관) (0) | 2020.07.17 |
매립형 중심정맥관(Implanted Port): 케모포트(Chemoport) (0) | 2020.07.16 |
비터널형 중심정맥관(nontunneled central venous catheter) (0) | 2020.07.13 |
중심정맥관 종류 및 특징 (0) | 2020.07.08 |
포비돈 스틱스왑(베타딘 스틱) 사용법 (0) | 2020.07.03 |
듀오덤 엑스트라씬 vs 듀오덤 CGF, 듀오덤 사용법, 듀오덤 교체시기 (0) | 2020.06.28 |
댓글